[컴투스] 에러를 리턴하는 goroutine 테스트 코드 쉽게 제어하기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55 조회
- 1 댓글
본문
[기술포스팅 원문] https://on.com2us.com/tech/goroutine/
[기술포스팅 요약] 본글은 Go 언어의 goroutine을 테스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한 글이며, 경쟁 상태 방지, 비결정성 해결, goroutine 종료 대기 등 테스트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코드 예시와 구조체 설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goroutine은 Go 언어에서 동시성과 비동기 처리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 goroutine은 lightweight, 자동 스케줄링, 채널 기반 통신 등을 특징으로 하며, 병렬 작업과 I/O 작업에 자주 활용됩니다.
- 하지만 goroutine 내부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테스트 환경에서 정확하게 감지하고 제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특히 goroutine 실행 시점과 에러 발생 타이밍이 불확실하여, 경쟁 상태나 테스트 결과의 비일관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time.Sleep을 활용한 지연 방식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테스트 대상 객체의 준비 과정을 goroutine 실행 이전에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테스트 흐름을 큐(Queue) 기반으로 나누어 구독자는 goroutine, 발행자는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하는 구조가 추천됩니다.
- goroutine 내부 에러 처리를 위해 sync.WaitGroup을 활용하면, 에러 발생 시점과 goroutine 종료 여부를 명확히 감지할 수 있습니다.
- 다수의 goroutine을 관리하기 위해 Waiter 구조체를 직접 구현하여 에러 채널과 동기화를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 Waiter는 goroutine 수를 관리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 채널을 통해 외부로 전파하며, 모든 goroutine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 goroutine의 예상치 못한 종료, 에러 누락, 비결정성 문제를 분리하여 테스트 상태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 이 방식은 시스템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며, goroutine 기반 테스트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전체적으로 goroutine 테스트의 3가지 주요 문제(경쟁 상태, 비결정성, 종료 대기)를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이 게시글은 [GPT-4o model]를 통해 요약되었으며, 정보 공유 목적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개
QARobot님의 댓글
구독하기 (가입하는 절차 없음! 이메일주소만 등록!)
https://maily.so/qa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