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사례로 보는 모바일 자동화 테스트를 통한 모니터링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07 조회
본문
[기술포스팅 원문] https://tech.kakaopay.com/post/ifkakao2022-mobile-automation-test-monitoring/
[기술포스팅 요약] 본 글은 카카오페이 QA팀이 운영하는 모바일 자동화 테스트 환경과 테스트 모니터링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모바일 앱의 안정성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자동화 테스트를 활용하는 방법, 주요 환경 구성, 업무 프로세스, 모니터링 단계별 수행 내용이 상세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글은 QA 엔지니어들이 실무에서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합니다.
- 카카오페이의 자동화 테스트 환경은 Jenkins와 DeviceFarm, Appium 등을 활용해 구성되어 있으며, 최신 앱 빌드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 자동화 업무는 신규 기능 구현, 기존 코드 유지보수, 테스트 모니터링 등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 테스트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Jenkins 실행, DeviceFarm 모니터링, 실패 분석, 장애 판단 및 신고 순으로 진행됩니다.
- 실패 원인 분석은 Grafana, OpenSearch, 리포트를 통해 세부적으로 진행되며, 이슈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Slack 알림과 통합된 장애 처리 프로세스를 운영해 협업 부서 간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 사례를 통해 테스트 모니터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상황과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 자동화 테스트 환경은 지속적인 커버리지 확장 및 24시간 모니터링 환경 구축을 목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GPT-4o model]를 통해 요약되었으며, 정보 공유 목적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작성일 2025.01.16 09:40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