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프라이즈] Redis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QA Engineer의 기록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01 조회
본문
[기술포스팅 원문] https://tech.kakaoenterprise.com/183
[기술포스팅 요약]
안녕하세요, 저는 Chaos 팀의 Ella(최윤주)입니다. Chaos 팀은 카카오 i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 관리를 담당하며,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QA(Quality Assurance)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카오 i 클라우드 서비스의 QA 검증 방식과 최근 3차에 걸쳐 릴리즈한 Redis 서비스의 검증 여정을 소개합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검증은 단순한 UI/UX 테스트를 넘어, 서비스 안정성을 중점으로 합니다.
- QA 프로세스는 기획부터 개발, 배포, 개선 작업까지 전 과정에 걸쳐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입합니다.
- Redis 서비스의 검증에서는 데이터 유실 없이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중점으로 확인했습니다.
- 1차 릴리즈에서는 Redis 인스턴스의 생성, 조회, 삭제, 그리고 데이터의 유실 여부를 테스트했습니다.
- 2차 릴리즈에서는 인스턴스 그룹을 대상으로 대량 데이터 처리와 Switchover 시 데이터 정합성을 검증했습니다.
- 3차 릴리즈에서는 Redis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기능, 특히 자동 복구 기능의 안정성을 테스트했습니다.
- 검증 과정에서 다양한 도구와 스크립트를 사용해 대량 데이터를 처리하고, 자동화된 테스트 프로세스를 구축했습니다.
"이 게시글은 [GPT-4o model]를 통해 요약되었으며, 정보 공유 목적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