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
  • 현재 접속자 46 명
  • 오늘 방문자 147 명
  • 어제 방문자 1,852 명
  • 최대 방문자 2,388 명
  • 전체 방문자 129,036 명
  • 전체 회원수 822 명
  • 전체 게시물 1,051 개
  • 전체 댓글수 582 개
기술블로그

[일반] 버그 분석을 통해 버그를 예방하기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44 조회

본문

[기술포스팅 원문] https://chance-doe.tistory.com/12


[기술포스팅 요약] 이번 포스팅은 원티드랩 QA팀 김명관님이 스쿼드 내에서 QA 역할을 수행하며, P1 체크리스트 도입과 그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공유한 글입니다. QA의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적 접근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Phase 1: 개발 환경에서의 버그 검출률을 높이고, 스테이징 환경에서 버그 발생을 줄이는 활동을 통해 QA팀의 기여도를 증가
  • ‘버그 트렌드 대시보드’와 ‘스프린트 생산성/품질 분석 리포트’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버그 발생 현황을 추적
  • Phase 2: 프로젝트 전반의 버그 개수를 줄이기 위해 요구사항 미준수로 인한 버그를 최소화하는 목표 설정
  • 버그 속성 분류: 요구사항 미비, 요구사항 미준수, 인티그레이션 버그, 기술적 오류, 리그레션 버그 등
  • P1 체크리스트 도입: 개발 중 요구사항 미준수를 줄이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속적인 점검과 피드백 제공
  • P1 체크리스트 초기 도입 결과: 요구사항 미준수 버그 비율이 감소하지 않았으나, DevQA 첫날에 집중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 도입
  • 새로운 체크리스트 방식 결과: 요구사항 미준수 비율이 15% 감소, 이후 스프린트에서는 20%까지 감소
  • 개발자들이 얼마나 꼼꼼히 P1 체크리스트를 수행하는지에 따라 요구사항 미준수 비율의 차이가 나타남
  • 결과적으로 P1 체크리스트는 버그 개수와 요구사항 미준수 비율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음


"이 게시글은 [GPT-4o model]를 통해 요약되었으며, 정보 공유 목적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otice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