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nGrinder를 활용한 부하테스트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01 조회
- 1 댓글
본문
[기술포스팅 원문] https://medium.com/naverfinancial/ngrinder를-활용한-부하테스트-a8b1676cba6b
[기술포스팅 요약]
본글은 네이버페이 부동산에서 nGrinder를 활용하여 부하 테스트를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부하 테스트의 개념과 이를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했는지 설명한 글입니다.
주로 부하 테스트의 목적, 도구의 선택, 그리고 실제 테스트 진행 과정에서의 세부적인 단계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 부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일정한 트래픽을 받았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 네이버 부동산에서 상세 페이지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하 테스트가 필요했습니다.
- 부하 테스트의 목적은 성능 한계를 파악하고, 서비스 코드와 서버 설정의 문제를 발견하며, 목표 TPS(Total Transactions Per Second)를 달성하기 위한 설정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 ApacheBench, JMeter, Artillery, nGrinder 등 다양한 부하 테스트 도구가 있으며, nGrinder가 선택된 이유는 사내에서 이미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 테스트 진행 전 스크립트를 작성해야 하며, 네이버 부동산에서는 비로그인 기반의 샘플 코드를 수정하여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 테스트는 최대 부하를 찾고 설정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됩니다.
- 서버의 병목 현상을 찾고 CPU 부하, 메모리 누수 등의 문제를 점검했습니다.
- SSR 요청 개선, 캐시 적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했습니다.
- 이러한 과정을 통해 네이버 페이 부동산 서비스는 안정적으로 배포되어 현재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GPT-4o model]를 통해 요약되었으며, 정보 공유 목적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푸린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