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자격증

[ISTQB] 주요 소프트웨어 테스팅 용어 100개 + 쉬운설명

작성자 정보

  • QARobot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8 조회

본문

  1.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특정 조건에서 예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입력값과 실행 절차의 집합.

  2. 테스트 스위트(Test Suite): 관련된 테스트 케이스들의 모음.

  3. 테스트 계획(Test Plan): 테스트 목표, 범위, 일정 등을 정의한 문서.

  4. 테스트 시나리오(Test Scenario): 특정 기능이나 사용 사례를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의 고수준 설명.

  5. 결함(Defect):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

  6. 버그(Bug): 소프트웨어 결함의 다른 표현.

  7. 오류(Error): 개발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한 문제.

  8. 장애(Failure): 소프트웨어가 실제로 오작동하는 현상.

  9. 검증(Verification): 소프트웨어가 명세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10. 확인(Validation):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실제 요구를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11. 화이트박스 테스트(White-box Testing): 내부 코드 구조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기법.

  12. 블랙박스 테스트(Black-box Testing): 내부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외부 동작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 기법.

  13. 단위 테스트(Unit Testing): 개별 모듈이나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하는 것.

  14.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ing): 여러 모듈을 결합하여 상호 작용을 테스트하는 것.

  15.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ing): 전체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6.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ing): 최종 사용자가 시스템을 수락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7. 회귀 테스트(Regression Testing): 기존 기능이 변경 없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재테스트.

  18. 알파 테스트(Alpha Testing): 개발 환경에서 내부 사용자가 수행하는 테스트.

  19. 베타 테스트(Beta Testing):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 제한된 외부 사용자가 수행하는 테스트.

  20. 탐색적 테스트(Exploratory Testing): 사전 계획 없이 테스터의 경험과 직관에 따라 수행하는 테스트.

  21. 성능 테스트(Performance Testing): 시스템의 응답 시간, 처리량 등을 측정하는 테스트.

  22. 부하 테스트(Load Testing): 정상 작업량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테스트.

  23.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ing): 시스템의 한계를 초과하는 부하를 가하여 안정성을 평가하는 테스트.

  24. 유효성 테스트(Validation Testing):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25. 안전성 테스트(Security Testing):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테스트

  26.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 사용자가 시스템을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테스트.

  27. 호환성 테스트(Compatibility Testing): 다양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확인하는 테스트.

  28. 복구 테스트(Recovery Testing): 시스템이 장애 후 정상 상태로 복구되는 능력을 평가하는 테스트.

  29. 설치 테스트(Installation Testing):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환경에 올바르게 설치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30. 구성 테스트(Configuration Testing):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에서 시스템의 동작을 확인하는 테스트.

  31. 병행 테스트(Parallel Testing): 새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테스트.

  32. 연기 테스트(Smoke Testing):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이 작동하는지 빠르게 확인하는 테스트.

  33. 샌드박스 테스트(Sandbox Testing): 격리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는 방법.

  34. 모의 테스트(Mock Testing): 실제 컴포넌트를 모방한 가짜 객체를 사용하여 테스트하는 방법.

  35. 드라이버(Driver): 상위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해 하위 모듈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

  36. 스텁(Stub): 하위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위 모듈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

  37. 테스트 커버리지(Test Coverage): 테스트가 소프트웨어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다루는지 측정하는 지표.

  38. 구문 커버리지(Statement Coverage): 코드의 각 구문이 최소 한 번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39. 분기 커버리지(Branch Coverage): 모든 분기 지점의 각 경로가 최소 한 번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40. 조건 커버리지(Condition Coverage): 논리 조건 내의 각 개별 조건이 참과 거짓을 모두 취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 결정 테이블 테스팅(Decision Table Testing): 입력 조건과 그에 따른 동작을 표로 정리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기법.

  2. 상태 전이 테스팅(State Transition Testing): 시스템의 상태 변화와 그에 따른 동작을 테스트하는 기법.

  3. 에러 추정(Error Guessing): 테스터의 경험을 바탕으로 오류가 발생할 만한 부분을 추측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4. 테스트 오라클(Test Oracle): 테스트 결과의 기대값을 제공하여 실제 결과와 비교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

  5.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코드와 데이터의 집합으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는 데 사용됨.

  6. 드라이버(Driver): 상위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해 하위 모듈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7. 스텁(Stub): 하위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위 모듈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8. 테스트 커버리지(Test Coverage): 테스트가 소프트웨어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다루는지 측정하는 지표.

  9. 구문 커버리지(Statement Coverage): 코드의 각 구문이 최소 한 번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0. 분기 커버리지(Branch Coverage): 모든 분기 지점의 각 경로가 최소 한 번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1. 조건 커버리지(Condition Coverage): 논리 조건 내의 각 개별 조건이 참과 거짓을 모두 취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2. 결합 커버리지(Combination Coverage): 조건과 분기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테스트하는 기법.

  13. 변경 조건 결정 커버리지(Modified Condition Decision Coverage, MC/DC): 각 개별 조건이 전체 결정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14. 테스트 환경(Test Environment):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구성 등의 집합.

  15. 테스트 데이터(Test Data):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 값이나 데이터 집합.

  16. 테스트 오라클 문제(Test Oracle Problem): 테스트 결과의 기대값을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

  17. 테스트 자동화(Test Automation): 테스트 절차를 자동화하여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기법.

  18. 테스트 독립성(Test Independence): 테스트 팀이 개발 팀과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객관성을 유지하는 원칙.

  19. 테스트 레벨(Test Level):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등과 같이 테스트를 수행하는 계층 또는 단계.

  20. 테스트 유형(Test Type): 기능 테스트, 성능 테스트, 보안 테스트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진 테스트의 분류.

  21. 테스트 접근법(Test Approach): 테스트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이나 방법론.

  22. 테스트 전략(Test Strategy): 조직 수준에서 전반적인 테스트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문서.

  23. 테스트 정책(Test Policy): 조직의 테스트 원칙과 목표를 명시한 고수준의 문서.

  24. 테스트 성숙도 모델(Test Maturity Model, TMM): 조직의 테스트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모델.

  25.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Test Process Improvement, TPI): 테스트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법론.

  26. 테스트 메트릭스(Test Metrics): 테스트 활동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27. 테스트 리포트(Test Report): 테스트 결과와 진행 상황을 문서화하여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하는 보고서.

  28. 테스트 로그(Test Log): 테스트 실행 중 발생한 이벤트와 결과를 기록한 문서.

  29. 테스트 요약 보고서(Test Summary Report): 테스트 활동의 전반적인 결과를 요약한 최종 보고서.

  30. 테스트 모니터링(Test Monitoring): 테스트 활동의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평가하는 과정.

  31. 테스트 제어(Test Control): 테스트 계획 대비 실제 진행 상황을 비교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활동.

  32. 테스트 리스크(Test Risk):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장애 요소.

  33. 제품 리스크(Product Risk): 제품 자체의 결함이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34. 프로젝트 리스크(Project Risk):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일정 지연, 자원 부족 등의 리스크.

  35. 테스트 비용(Test Cost): 테스트 활동에 소요되는 총 비용.

  36. 테스트 효율성(Test Efficiency): 투입된 자원 대비 발견된 결함 수 등으로 측정되는 테스트의 성과.

  1. 테스트 대상(Test Item):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할 기능, 모듈 또는 시스템의 개별 구성요소.

  2.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 결함을 식별, 기록, 추적, 해결하는 전체 프로세스.

  3. 위험 기반 테스팅(Risk-Based Testing): 리스크 평가를 통해 테스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접근 방식.

  4. 동등 분할(Equivalence Partitioning): 입력값을 그룹으로 나누어 대표값을 선택, 테스트 케이스 수를 줄이는 기법.

  5. 경계 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입력값의 경계에 위치한 값들로 오류를 검출하는 테스트 기법.

  6. 결정 테이블(Decision Table): 입력 조건과 예상 결과를 표 형식으로 정리해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는 도구.

  7. 페어와이즈 테스트(Pairwise Testing): 여러 입력 변수의 모든 가능한 쌍을 조합하여 테스트하는 방법.

  8. 비기능 테스트(Non-Functional Testing): 성능, 보안, 사용성 등 기능 외의 속성을 평가하는 테스트.

  9. 기능 테스트(Functional Testing): 소프트웨어가 요구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검증하는 테스트.

  10. 사용자 인터페이스 테스트(UI Testing):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화면이나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확인하는 테스트.

  11. 리스크 기반 테스트 설계(Risk-Based Test Design): 테스트 케이스 설계 시 예상 리스크를 고려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법.

  12.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Test Automation Framework): 자동화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구조와 도구 집합.

  13.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코드 변경 사항을 자주 통합하고, 자동으로 테스트하는 개발 관행.

  14. 지속적 테스트(Continuous Testing): 개발 파이프라인 내에서 변경 사항마다 테스트를 자동 실행하는 방식.

  15. 단순 모의 테스트(Simple Mock Testing): 복잡하지 않은 환경에서 모의 객체를 사용해 독립적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16. 시뮬레이션(Simulation): 실제 환경을 모방하여 소프트웨어 동작을 검증하는 테스트 기법.

  17. 프로토타이핑 테스트(Prototyping Testing): 초기 모델을 대상으로 요구사항과 기능을 검증하는 테스트.

  18. 테스트 커뮤니케이션(Test Communication): 테스트 결과와 진행 상황을 이해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활동.

  19. 테스트 프로세스(Test Process): 테스트 계획, 설계, 실행, 평가 등 테스트 전반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방법.

  20. 테스트 설계 기술(Test Design Techniques):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는 방법론의 집합.

  21. 프로파일링(Profiling): 소프트웨어의 성능, 자원 사용 등을 분석하여 병목이나 최적화 포인트를 찾는 과정.

  22. 결함 심각도(Defect Severity): 결함이 시스템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척도.

  23. 결함 우선순위(Defect Priority): 결함 수정의 시급성과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준.


이 게시글은 정보 공유 목적이며, 게시물에 대한 책임이나 이해 관계가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QA 포럼

스크랩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